(비씨엔뉴스24) 경상북도는 침체한 지역 산업 및 상권 활성화와 초대형 산불 피해지역 지원을 위해 2025년도 제2회 추가경정 예산안을 편성해 도의회에 제출했다.
경북도는 지난달 31일 초대형 산불 피해 복구 및 피해지역 긴급 생활 지원을 위해 제1회 추가경정예산 2,229억원을 긴급 편성한 데 이어, 최근 지속된 정치적 상황, 미국발 관세전쟁, 산불 피해 등으로 침체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총 7,802억원 규모의 제2회 추가경정 예산안을 편성했다.
경상북도는 이번 제2차 추가경정 예산안에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경북버팀금융 지원사업 규모를 2,000억원에서 4,000억원으로 증액시키는 등 총 2조원 규모의 소상공인 특별금융지원사업을 22개 시군과 공동으로 협력해 경북신용보증재단과 함께 민생경제와 골목상권 살리기에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또 중소기업육성기금 조성, 소상공인 육성‧중소기업운전 자금 이차보전, 경북지방시대 벤처펀드 및 G-star 영호남연구개발 특구펀드 조성 자금 등을 추가 편성하여 지역 기업과 소상공인을 최우선 지원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지역 소비 촉진을 통한 서민경제 지원과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어르신 대중교통 무료 승차 손실 보상, 전세 사기 피해자 지원 등의 예산을 편성해 어려운 경제 상황에 먼저 영향을 받는 도민들의 생활 안정과 일상 회복을 지원한다.
이번 제2회 추경에서는 초대형 산불 피해를 당한 지역에 대한 지원도 강화할 예정이다.
안동시, 의성군, 청송군, 영양군, 영덕군 5개 시군의 일상 회복을 위해 지방 보조사업 예산을 306억원 추가 배정하고, 도 직접 시행 사업과 공모사업 등에 대해서도 우선 지원한다.
한편, 경북도는 앞서 산불 피해지역 지원 원포인트 긴급 제1회 추경을 통해 편성된 긴급생활안정지원금 820억원을 해당 시군에 즉시 교부했으며, 긴급 자체 복구비 180억원도 시급한 곳부터 우선 교부해 피해 복구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아울러, 산불 이재민 주거지 확충 사업 등 산불 복구와 예방을 위한 9개 사업 5,189억원을 2025년 정부추경 및 2026년 정부예산안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 건의할 작정이다.
경북도는 산불 피해 극복을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고자 전 행정력을 집중하는 속에서 국가적 행사인 ‘2025 APEC 정상회의’ 성공 개최를 위해 만찬장 조성, 수송 대책, 야간경관 조성, 문화동행축제 등에 583억원을 추가 투입해 역대 최고의 APEC 정상회의가 될 수 있게 만전을 기한다.
경북도는 이러한 자체 예산의 적극적 투입에 더해, 더욱 크고 성공적인 행사를 위해 국가직접지원과 국비 확보도 더 강하게 추진한다.
이미 확보한 국비 1,712억원과 중앙부처 직접 추진 사업 1,201억원에 추가해 정부 추경에 APEC 만찬장 조성, 숙박시설 정비, 관광지 경관 개선 등 18개 사업 1,086억원의 예산을 건의해 ‘2025 APEC 정상회의’ 기반 구축과 행사개최 준비에 더욱 박차를 가한다.
이외에도, 이번 추경예산에는 저출생과 전쟁 시즌2를 위해 아이돌봄, 다자녀가정 지원, 결혼 지원 등에 추가 예산을 투입하여 저출생 부담 타파 4대 문화운동에 앞장서는 등 더욱 강력하고 피부에 와닿는 저출생과 전쟁을 중단없이 추진한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산불 피해지역 주민의 조기 생활 안정과 피해 복구를 위해 경상북도의 행정력을 총동원하고 있다. 피해지역 복구와 재건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이번 산불을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겠다”며 “동시에, 지역 기업, 소상공인, 취약계층 등에 대한 맞춤형 지원을 통한 민생안정과 ‘2025 APEC 정상회의’ 성공 개최로 경북의 국제적 위상 향상과 경제적 도약도 함께 이뤄내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도가 제출한 2025년도 제2회 추가경정 예산안은 도의회 상임위원회와 예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29일 본회의에서 최종 확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