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씨엔뉴스24) 최근 서울 전역에서 땅꺼짐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시민 불안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용산구의회 김형원 의원은 지난 21일 열린 제297회 임시회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용산구의 지반침하 위험성과 예방 대책의 필요성”을 강하게 제기했다.
김 의원은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전국적으로 2,085건의 싱크홀이 발생했으며, 서울시의 최근 조사에서도 E등급으로 분류된 고위험 구간이 28곳에 달한다”며, “한남삼거리에서 한남대교 북단 구간도 포함돼 있는 만큼 용산구 역시 안전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용산구 내에서는 최근 10년간 용산역, 효창공원역, 한강로2가, 이태원역, 도원동 등에서 반복적으로 싱크홀이 발생해왔으며, 올해 초에는 남영동 삼거리에서 지반침하 위험이 발견되어 긴급 보수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김 의원은 “용산구는 50년 이상 된 노후 하수관 비율이 49.6%로 서울시에서 두 번째로 높고, 국제업무지구 개발, 대규모 재개발, 복합 지하공간 확대로 인해 위험요인이 중첩되고 있다”고 강조하며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정기적인 위험 지역의 선제점검 강화 ▲지반침하 정보의 투명한 공개 ▲신속 대응을 위한 체계 구축 등 세 가지 핵심 방향을 제안했다. 특히 “위험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 것은 시민의 알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며, 생명을 경제 논리로 저울질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또한 “행정안전부와 환경부는 이미 침수 및 홍수위험지도를 공개하고 있는 만큼, 용산구도 시민이 직접 대비할 수 있도록 정보를 공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용산이 서울의 중심인 만큼 보다 엄격하고 선제적인 안전관리 체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발언을 마무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