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리더십이 최측근 김남국 의원의 '코인 논란' 확산에 다시금 벼랑 끝에 섰다.
장기화하는 이 대표 본인의 사법리스크에 '2021년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이 악재로 작용하더니 이번 논란·의혹까지 터지자 비명(비이재명)계를 중심으로 '지도부 사퇴론'이 재차 고개를 들고 있어서다.
당내 균열 양상은 무더기 이탈표가 쏟아졌던 '이재명 체포동의안 사태' 때보다 더 심각하다는 게 당내 중론이다.
당시엔 소수 비명계가 '이재명 책임론'을 거론했지만, 이번 사태를 두고는 내년 총선을 앞두고 청년 표심 악화를 우려한 일부 중도파까지 가세하는 분위기다.
일각에선 이낙연계인 박광온 의원이 새 원내대표로 선출되면서 비명계 목소리가 더 힘을 받게 됐다는 시각도 있다.
이번 사태를 둘러싼 지도부 책임론의 밑바탕에는 무엇보다 김 의원이 이 대표의 최측근 인사라는 인식이 깔려 있다.
이 대표의 '제 식구 감싸기'가 지도부의 미온적 태도와 늑장 대응으로 이어져 위기를 더욱 키웠다는 것이다.
김 의원은 지난 대선 당시 이 대표의 수행실장을 맡았고, 원조 측근 그룹인 '7인회' 멤버이기도 하다.
비명계인 조응천 의원은 16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김
남국 의원이 누구냐. 자타가 공인하는 이 대표의 최측근"이라며 "그런 사람이 비위에 연루돼 벌써 열흘 가까이 지났는데도 (지도부는) 제대로 맺고 끊고 하는 게 없다"고 비판했다.
다른 비명계 중진 의원은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이 대표가 어떻게든 김 의원의 탈당을 막고 바로 징계 절차에 들어갔어야 했다"며 "그랬어야 당명을 어기고 탈당했다는 기록을 남길 수 있었다"고 했다.
이 대표의 측근에 대한 온정주의 탓에 '징계회피용 탈당은 제명 또는 향후 5년간 복당할 수 없다'는 당규를 확실히 적용할 기회를 놓쳤다는 지적이다. 당의 늑장 대응을 꼬집는 목소리는 지도부 내에서도 나오고 있다.
당 고위 관계자는 "'돈 봉투 사건'에서는 하루 이틀 늦긴 했지만, 이 대표가 과감하게 사과하고 초기 대응을 잘했다"며 "그러나 이번 건은 초반에 너무 우유부단했다. 대응이 늦었던 게 사실"이라고 했다.
비명계 일각에선 사태 책임을 지고 이 대표는 물론 친명(친이재명)계가 다수인 최고위원들까지 총사퇴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비명계 한 초선 의원은 "후폭풍이 이렇게 큰 데도 지도부가 정신을 못 차리고 있다. 국회 윤리특위 제소 주장이 그리 많았는데 왜 결의문에서 쏙 뺀 것이냐"라며 "쇄신의 모습을 보여주려면 지도부가 모두 물러나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다만, 비명계 상당수는 당장 지도부 거취를 언급하는 것에는 신중한 분위기다.
마땅한 대안이 없는 상황에서의 지도부 공백은 분란만 가중될 것이라는 현실적인 우려 때문으로 보인다.
그간 지도부와 각을 세워온 박용진 의원이 이틀 전 의원총회에서 "당 대표가 쇄신의 칼을 들고 휘둘러야 한다. 대표 권한을 더 강화할 수 있으면 해야 한다"고 발언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보인다.
비명계인 김종민 의원은 라디오에 출연해 "지금 당장 (이 대표를) 흔들고 내려오라고 해서 해결될 수 있는 사안은 아니다"라면서도 "조만간 취임 1년이 되는데 그간 당을 제대로 혁신했느냐를 따지면 된다. 그런 점에서 이 대표의 시간이 무한정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했다.
계파색이 옅은 한 수도권 의원은 "이 사안으로 당이 시끄러울 수는 있지만 대표 사퇴론으로 몰고 가기엔 무리"라면서 "다만 이젠 당 지도부가 아니라 원내 지도부가 키를 쥐고 가야 할 때가 왔다. 의원총회 때 결의문 작성 전후 과정에 지도부는 목소리조차 내지 못했다"고 꼬집었다.
'김남국 사태'를 두고 고질적 계파 갈등이 재현하는 것은 물론 강성 당원들의 비명계를 향한 '공격'이 재개되는 등 내홍 역시 깊어지는 양상이다.
박지현 전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은 페이스북에서 "극성 팬덤층이 '김남국 코인 의혹'을 비판한 청년들과 전국대학생위원회를 맹비난하고 있다"며 "이 대표님, 김 의원을 비호하는 처럼회를 해체하고 김 의원을 비호하며 처럼회를 떠받드는 극성 팬덤정치를 확실하게 끊어내시라"고 말했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