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5 (수)

  • 맑음동두천 -12.6℃
  • 맑음강릉 -7.9℃
  • 맑음서울 -10.5℃
  • 맑음대전 -8.0℃
  • 맑음대구 -5.7℃
  • 맑음울산 -5.6℃
  • 광주 -4.7℃
  • 맑음부산 -4.4℃
  • 흐림고창 -6.4℃
  • 구름많음제주 2.0℃
  • 맑음강화 -10.5℃
  • 구름많음보은 -7.9℃
  • 흐림금산 -8.1℃
  • 구름많음강진군 -2.8℃
  • 맑음경주시 -6.2℃
  • 맑음거제 -4.3℃
기상청 제공

문화

조인철 의원, 연간 수십 억 소요 DMB, 이용률은 고작 2%!

누구를 위한 재난 방송인가? 방통위는 꼼수 재허가만...

 

(비씨엔뉴스24) 25일 국회 과방위 조인철 국회의원(광주 서구갑, 민주당)은 이용률이 2%에 불과한 DMB의 재난방송 정책을 방통위에서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2005년 첫 도입된 DMB는 이동 중 영상 시청을 가능하게 하면서 한때 2,000만 국민이 사용할 정도로 인기가 높았지만, 스마트폰과 유튜브, OTT에게 점점 자리를 뺏기면서 작년도 이용률이 2%대로 추락했다.

 

한편, DMB는 FM라디오와 함께 터널 및 지하 공간 등 음영 지역에서의 의무 재난방송 수신매체로 지정되어 있는데, 수신환경 조사 결과 전국 4,960여개 터널 중 3,400여개(68.4%) 터널에서 수신 불량이 나타났다.

 

방통위는 재난방송 수신환경 개선을 위해 연간 5~10억 가량 설치 비용을 지원하고 있으며, 민간 방송사는 DMB 중계설비 운영과 유지 보수를 위해 연간 4~50억에 달하는 비용을 자체적으로 부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극히 낮은 이용률과 수신 불량 및 유지 부담에도 불구하고 지난 10년 간 DMB 사업자가 방통위 재허가 심사에서 탈락한 적은 단 한 번도 없다. 작년도 평가에서도 5개 DMB 사업자는 재허가 기준 점수인 650점에 미달했지만 모두 ‘조건부 재허가’를 받았다.

 

조인철 의원은 “이미 스마트폰 사용률이 98%에 달하는 상황에서 이용하는 사람도 없고 수신 상태도 불량한 DMB가 존속되어야 하는지 의문이다”라고 지적하며 “안전은 과해도 지나치지 않지만 DMB 자체가 사멸해가는 매체임을 고려한다면, DMB 재난방송 정책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