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괴 우려로 작업이 전면 중단됐던 경기 광명시 신안산선 지하터널 공사 현장이 작업 중단 당일 실제로 무너져 내려 고립·실종자가 발생하면서 보강공사가 적절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11일 경찰과 소방당국 등에 따르면 이날 0시 26분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복선전철 제5-2공구 내 포스코이앤씨가 시공 중인 지하터널 공사 현장에서 '붕괴 우려' 신고가 광명시청에 접수됐다.
신고 내용은 '투아치'(2arch) 구조로 시공 중인 지하터널 내부의 가운데 기둥(버팀목)이 파손됐으며, 쇳소리가 나 근로자 17명이 자력으로 대피했다는 것이었다.
포스코이앤씨는 신고 후 작업을 전면 중단했으며, 광명시로부터 공조 요청을 받은 경찰은 주변 도로를 통제하는 등 안전조치를 했다. 이어 포스코이앤씨는 국토교통부와 함께 기둥이 파손된 원인을 분석하고, 보강공사 및 안전진단에 착수했다. 그런데 이로부터 15시간여가 지난 오후 3시 13분 지하터널 공사 현장과 상부 도로가 붕괴했다.

이 사고로 당시 도로 위 상판에서 안전진단 등의 작업을 하고 있던 근로자 중 2명이 각각 고립·실종됐다. 현재까지 파악된 바로는 작업 중단 이후 오전에는 붕괴 우려 구간에 대한 보강공사가 이뤄졌으며, 오후 들어서는 안전진단이 진행됐다.
각각의 작업이 구체적으로 무엇이었고, 어떻게 이뤄졌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다만 사고 당시 지하터널 공사 현장에는 근로자가 투입되지 않았고, 총 근로자 17명 중 5명 정도만 현장의 상부인 도로 안팎에서 안전진단과 관련한 일을 하고 있던 것으로 전해졌다.
사고 초기 연락이 끊겼던 5명의 근로자 중 3명은 순차적으로 안전이 확인됐으나, 1명은 실종 상태이며, 또 다른 근로자 1명은 지하에 고립돼 구조를 기다리고 있다.
경찰은 이들 두 사람 외에 실종·매몰 등으로 인한 요구조자는 없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미 자정께부터 붕괴 우려에 따른 작업 중단으로 도로가 통제돼 주변에서의 공사 현장 출입이 불가능했던 데다 17명의 근로자 중 16명(고립 1명 포함)과 연락이 모두 닿았기 때문이다.
경찰은 무엇보다도 실종자 수색 및 고립자 구조가 최우선인 만큼, 일단은 주변 통제 등 소방 당국의 현장 활동 지원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사고 수습 마무리 후에는 관계기관과의 합동 감식을 통해 정확한 붕괴 원인을 조사할 방침이다.
아울러 사고 당일 오전까지 진행된 것으로 알려진 보강공사가 적절했는지, 이후 사고 위험 요소를 완전히 제거한 상태에서 안전진단을 한 것인지 등을 폭넓게 수사할 예정이다.
경찰의 한 관계자는 "작업 중단 후 보강공사와 안전진단이 함께 이뤄진 것으로 알고 있는데, 사고 예방조치가 제대로 됐는지를 포함한 전 과정이 수사 대상이 되리라 예상된다"며 "만약 무리한 작업이 있었다면 처벌 대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사고와 관련, 광명시는 이날 오후 5시 54분 재난문자를 통해 "현재 양달로4 도로 붕괴로 인근 주민은 다음 대피장소로 신속히 대피바랍니다. (대피 장소) 광휘고, 운산고, 충현중, 충현고, 시민체육관"이라고 알렸다.
【광명=연합뉴스】